자료- 2003 여름학당 세부일정 > 한문학당자료실

본문 바로가기
자료실

자료- 2003 여름학당 세부일정
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금강 작성일06-02-04 06:55 조회3,377회 댓글0건

첨부파일


본문

2003여름 학당 세부진행
img2.gif
첫째날 진행에 관련한 내용입니다.
전체 진행에 관련한 내용은 첨부파일에 있습니다.
수고하십시요....

1. 시작하는 날

① 접수, 안내, 방배정 (오후 1시 ~ 3시) : 지도교사
절에 학생들이 도착하면 (접수장소 : 자하루, 세심당 다실)
■ 지급할 것 : 교재, 법요집, 이름표, 세부일정표, 수련복.
■ 받을 것 : 서약서와 귀중품.
※ 가방에 있는 불필요한 책, 돈, 전화카드, 과자 등도 받아 귀중품과 함께 보관한다.
부모님들께는 기간 중 전화 통화나 일체의 면회가 안됨을 통지한다.

▶ 접수가 끝난 학생들은 지도교사의 안내에 따라 각자 소지품을 챙겨 방으로 이동.
남학생(중등) 숙소 - 세심당 큰방/ 짐방(男) - 세심당 중간방 /
여학생(중등) 숙소 - 세심당 1, 세심당 긴 방. / 짐(女) - 숙소 벽장.

남학생(초등) 숙소 - 자하루 1층/ 소지품(男) - 관물장/
여학생(초등) 숙소 - 자하루 1층/ 소지품(女) - 관물장/


▶ 발우 체크.. / 이불, 베개 / 행사용품 (다도) 강의실 벽장.

* 2시 50분까지 수련복으로 갈아 입고 법요집을 소지하고
강의실로 모일 수 있도록 미리 알려준다.

② 자기 소개 및 기본예절습의 (3시 ~ 5시) : 지도교사 및 주지스님
▶ 자하루
(함께 생활할 학생들이 잘 어울릴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.)
각자 자기 소개를 간단하게 한 다음에
(처음 시작을 잘 할 수 있게 지도한다. 아니면 너무 지루한 시간이 될 수도 있다.)
합장,
차수,
큰절,
예불하는 법,
입학식 준비 (삼귀의 / 반야심경 / 사홍서원),
생활수칙, 청규 (다같이 읽으며 숙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)을 익힌다.

③ 입학식 (5시) : 다같이
입학식은 짧은 시간 동안 장엄하게 한다
* 삼귀의
* 반야심경
* 입학식사 (교장 금강스님)
* 교수사 및 지도교사 소개
* 교육 일정 소개
* 청규 발표
* 사홍서원
▶ 준비물 : 목탁, 죽비

④저녁공양 (6시 : 지도교사)
저녁공양은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* 후원 야외에서
: 공양 시작 前 발원문만 하고 끝나는 시간은 자연스럽게 한다

저녁공양이 끝난 후 6시 50분에 학생들은 세심당 앞에서 좌복과 법요집을 챙겨 집결,
법당으로 이동
▶ 법당으로 이동할 때는 질서정연하게 나올 때는 자연스럽게 한다

⑤저녁예불 (7시) : 다같이
첫날은 법당 자리배정을 정확하게 지도한다
예불하는 법을 익히는데 중점을 둔다.
* 학생들은 세심당, 자하루 앞에서 좌복과 법요집을 들고 각 반별로 법당으로 출발.
* 학생들은 절반씩 나누어 법당 양쪽으로 출발한다.
* 반장은 맨 나중에 들어가며 자기 반의 신발정리를 담당한다.
* 법당 들어서면서 반배, 법당에서의 각자 위치를 정해준다.
* 입승의 삼배 (입승에게 지도) 죽비소리에 맞춰 삼배하고 자기 자리에 앉아 기다린다.
* 예불 시작 - 반야심경
* 스님의 지도에 따라 삼배.
* 뒤쪽에서부터 차례대로 나오면서 반배
* 법당 바깥으로 나오는대로 자연스럽게 글방으로 이동

⑥ 발우공양습의 (7시 30분) : 주지스님
* 번호에 따라 발우공양 자리를 배정한다.
<자리 형태는 자하루 크기에 따라 학생들이 함게 할 수 있는 직사각형 대형을 확정한다.>
* 스님과 지도교사를 선두로 각 번호 차례대로 합장, 반배하고 발우를 가져온다.
* 발우공양 의식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을 한다.
* 학생들은 각자 발우를 풀고 공양법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듣는다.
* 각자 발우를 묶어 처음의 순서대로 합장, 반배하고 발우를 제자리에 둔다.

⑦한문 교육 방법 ( ~ 8시 30분) : 교수사스님
▶ 첫날은 시간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어 “발우공양 습의” 시간이 늦어지면
‘한문교육방법’은 다음날 ‘한문암송’ 시간에 실시한다.
* 한문학당의 정신과 시험이나 경쟁 없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당부하고,
기본적 학습방법을 알려준다
* 一體唯心造
* 선택한 고난은 나의 앞길을 개척해준다
* 어떻게 살것인가? * 修身, 修心, 修世 (한문학당의 정신)
* 시험도 없고 경쟁도 없고 다만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

⑧ 참회와 다짐의 시간 (8시 30분 ~9시) : 주지스님, 교수사스님
* 중학생들은 참선 후 참회와 r다짐의 시간을 갖는다.
* 참회와 다짐의 시간은 하루 생활을 돌아보며
스스로 참회하고 새로운 다짐을 갖는 시간이다
▶ 친구들과 다투었거나 욕설을 했거나 공동체 생활에 위배되는 행동을 한 학생들이
대중에게 스스로 잘못을 말하고 삼배함으로써 참회한다
(참회중독증을 없애기 위해 연속 참회는 법당에서 108배하도록 한다.)
▶ 하루 생활에 대해 스님과 지도교사가 간략한 평가를 하고 칭찬할 것은 칭찬하고
잘못된 것은 분명하게 지적해 고치게 한다.

⑨ 취침 (9시 30분) : 지도교사
* 마지막 일정이 끝나면 적당한 시간을 정해 정해진 시간에 취침할 수 있도록 지도.
* 세면, 양치 후 취침할 수 있도록 지도.
* 숙소별 이불 파악하여 부족한 곳 배분..

⑩하루 평가 회의
* 취침 지도가 끝난 후 지도교사와 스님이 함게 모여 오늘 진행 상황과 분위기,
흐름을 파악하여 사소한 문제라도 놓치지 않고 다같이 대책을 마련한다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주소 : 전남 해남군 송지면 미황사길 164 (59061)   
전화번호 : 061)533-3521    팩스 : 061) 535-2706   
이메일 : mhs20210@daum.net   
사업자등록번호 : 415-82-06667   
통신판매번호 : 2013-전남해남-00001

© 2020 대한불교조계종 미황사 ALL RIGHT RESERVED